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operator==
- 이진노드
- c2678
- placeholder
- 과제5차
- 과제
- 난수중복제거
- bind
- BST
- GitHub
- 이진순회트리
- greater
- 에러
- list
- 네트워크 프로그래밍
- 멀티스레드
- 상속
- 자료구조
- C++
- 튜토리얼
- remove_if
- 이진트리
- 소켓 프로그래밍
- 함수객체
- 노드
- Git
- 연산자오버로딩
- 클라이언트
- 채팅프로그램
- 동빈나참고
- Today
- Total
목록전공 (12)
강아지를 좋아하는 컴공생
마인드맵도 있음 https://adioshun.gitbooks.io/linear-algebra/content/09c120-d615-b3c5-b9bd-span-ae30-c800-cc28-c6d0.html 09 선형 독립(Linear independence), Span, 기저(Basis) 그리고 차원(Dimension) · linear algebra adioshun.gitbooks.io
트리 & 그래프 차이점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MST(최소 신장 트리) https://gmlwjd9405.github.io/2018/08/28/algorithm-mst.html https://www.zerocho.com/category/Algorithm/post/584bcd42580277001862f1a7 프림 알고리즘 https://www.weeklyps.com/entry/%ED%94%84%EB%A6%BC-%EC%95%8C%EA%B3%A0%EB%A6%AC%EC%A6%98-Prims-algorithm

정리 목적 과제 - PS2_4주차과제_가우시안소거_역행렬 위 과제를 하며 부족했던 개념들 공부함 PS2 과제 중 인터넷 참고 자료(추가 공부) * 제출 파일, 과제 파일은 iCloud에 저장 목차 1. 치환행렬 2. 3차원 회전 변환 행렬 1. 치환행렬 - 개념 및 특징 https://twlab.tistory.com/13 [Linear Algebra] Lecture 5 - (1) 치환행렬(Permutations), 전치(Transposes) 그리고 대칭 행렬(Symmetric Matrix) 지난 포스팅의 마지막 부분에 우리는 치환행렬(Permutation matrix)과 전치(Transpose)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였다. 이번 포스팅의 서두에선 이에 대해 좀 더 이야기해보고 마무리 짓도록 하자. 1. P..

pthread_create 함수 형태 pthread_create()의 arg에는 하나의 인자밖에 전달을 하지 못한다. 그러나! arg 부분을 통해 2개 이상의 인자를 전달하고 싶을 때 구조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. 문제해결 개념 및 원리 이 개념이 필요했던 곳은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과제 중 소켓 프로그래밍 과제 중 서버 - 클라이언트 채팅 프로그램 작성시 서버입장에서는 어느 클라이언트에서 온 메시지인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애초에 클라이언트가 보낼 메세지에 자신의 이름을 넣어 보내면 되겠다고 생각했다.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속을 할 때 자신의 이름을 입력해야하기 때문이다. 문제는 이 이름이 main의 argv[1]에 저장되어있다는 것이다(argv[0]는 아마 ./client 일껄...?) 그런데 이 ar..